20대 재테크 어떻게 시작하면 좋을까?

목차

    20대 재테크는 어떻게 시작하는게 가장 좋을까?

    나도 같은 20대로써 어떻게 재테크를 시작해야할 지, 그리고 잘 할 지에 대해 정말 많은 고민을 했다.
    20대 재테크라고 하면 통장 쪼개기, 적금 풍차 등 여러 가지 방법으로 안전하게 재테크를 하는 방법을 많이 찾았을 것이다. 

     

    물론 안전형을 추구하는 사람이라면 위와 같은 방법을 지향하는 것을 말리지는 않겠으나 물가 상승률이나 인플레이션 등을 고려했을 때 위의 방법은 어떻게 보면 점점 현실성이 떨어지는 재테크의 방법이지 않을까 생각이 든다. 

     

    이제 20대 중반을 넘어가는 사람으로써 유튜브에서 이른 나이에 몇 천만 원, 투자를 통한 일확천금을 얻은 사람이 아닌 그저 주변에 둘러보면 투자나 돈에 관심이 많은 한 사람으로서 생각하는 방법으로써 이야기를 해보고자 한다. 

    재테크로 돈을 쌓고 있는 이미지

    1. 20대 재테크의 습관을 길러라? 

    물론 재테크의 습관을 기르는 것은 투자든, 펀드든, 적금이든, 예금이든 하기 전 가장 먼저 행해야하는 조건이다. 
    하지만 습관을 어떻게 길러야할까?
    본인이 학생이라면 받고 있는 용돈을, 본인이 직장이라면 받고 있는 월급을 한 번 자세하게 분석할 필요가 있다. 

    식비, 교통비, 관리비, 월세 등의 고정적으로 지출되는 생활비가 평균적으로 얼마 정도 되는지와 한 달에 본인이 필요한 옷이나 신발 등의 비용으로 나가는 것이 대략적으로 어느 정도인지 알아야한다. 

    이 비용을 분석함으로써 본인에게 재테크라는 것을 할 수 있는 자금이 어느정도인지 파악이 가능하다.

    월급통장? 생활비 통장? CMA통장? 솔직히 개인적으로 의미는 없다고 생각한다. 

    필자의 경우 월급을 받는 즉시 생활비로 빠져나갈 것 나가고, 체크카드 용으로 사용할 현금성 자본을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증권계좌에 넣어놓고 지켜보다 채권을 사거나, 주식을 사는 등의 방식으로 활용하고 있다.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은 통장을 4개 정도나 만들 정도로 부지런하지 않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재테크로 돈 나무가 성장하고 있는 이미지

    2. 투자는 도박이다?

    투자는 도박? 맞는 말이다. 미래를 예측할 수 있는 사람이면 아마 부자가 됐을 거다.

    하지만 투자든, 도박이든 모두 확률적 게임이다. 
    어떤 유튜브를 보니까 투자처에서 십몇년을 다녔지만 도무지 주식 세계는 알 수가 없다는 것이다. 

    그래서 확률적 도박의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 투자할 회사는 어떤 산업군이며, 해당 산업군은 미래에 유망한 기술을 가지고 있는가? 그 회사에 투자하는 회사가 있는가? 재무제표 상태는 어떤가? 가치투자를 할만한가? 에 대해 여러 가지 자료를 찾은 뒤 결과적으로 투자를 한다. 

    어떤 유튜버가 이런 말을 했다. 

     

    ' 아직 세상에 안나 온건 투자하기 겁나지만, 성능이 좋든 나쁘든 일단 세상에 하나라도 나온 기술이라면 나는 투자할 것 같다. 심지어 그 기술이 모든 산업군에 영향을 끼칠만한 기술이라면 더더욱 투자를 할 것 같다.'
    포드가 자동차를 처음 만들었을 때는 유일무이했지만 지금은 자동차는 일상생활 어디서든 볼 수 있다. 
    전기차도 실용화가 되어가고 있다. 그렇다면 다른 신기술이 세상에 실용화가 되지 않는다고 누가 장담할 수 있을까? 

    그런 부분에서 20대 때는 회사를 어떻게 분석을 하는지, 경제나 이슈에 관심을 가지는 습관을 들이는 것만으로도 성공이고, 투자까지 한다면 남들보다 좀 더 앞서가는 20대가 되지 않을까 생각이 든다.  

    재테크를 시간으로 표현한 이미지

    3. 어떻게 투자해야 할까?

    20대든 30대든 재테크를 고민하는 사람들이라면 한 번쯤 들어봤을 자산 포트폴리오에 대해서 우리는 먼저 공부할 필요가 있다.

    내가 안정형의 사람인지, 위험을 어느 정도 감수를 하는 사람인지, 하이리스크 하이리턴을 원하는 사람인지 나 자신이 어떤 유형의 사람인지에 대해 먼저 알아야 한다. 

    나를 예로 들 경우 어느 정도의 위험은 감수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처음에 대부분을 주식에 투자를 했으며, 포트폴리오를 공부하면서 채권을 사고 연금저축펀드를 시작하고 주식에 99% 투자되었던 것을 점점 비율을 조정하고 있으며, 주식에서도 안정주, 스펙주, 리츠주식 등 주식 내에서도 포트폴리오를 따로 구상하면서 비율을 조정하고 있다. 

    초기에 투자를 공부하기 시작했을 때는 어느정도 재미라는 것을 느껴야 했기 때문에 안정주에서도 우상향을 그리고 있는 기업에 투자를 했고 재미를 느끼기 시작하면서 짧게는 5년 많게는 10년을 기다려야 할 수도 있는 스펙 주에 비중을 점점 높여서 투자를 하는 방식을 하고 있다. 

     

    이처럼 내가 어떤 유형의 사람인지 파악하고, 안정주로 평탄하게 어느 정도의 수익을 보면서 살 것인지, 안정주도 어느정도 확보하고 스펙 주를 좀 더 늘려서 확보할지는 투자하는 사람의 성향에 따른 것이기 때문에 이 부분은 본인이 공부를 하면서 투자를 해보기 바란다. 

     

    이때 주의할 점은 투자 공부를 제대로 시작하기 위해서는 내 돈이 들어가 있어야 하더라...!

    한 계단 한 계단 올라가며 성장하여 스스로 자신의 재테크를 실행하고 있는 사람 이미지

    4. 30대, 40대와는 다른 전략

    30대, 40대 때 투자를 시작하신 분들은 상대적으로 목돈은 있지만 그 돈을 부풀리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방안을 모색해야 하고, 주변에 신경 써야 할 것이 많다. 
    하지만 20대는 다르다. 

    아직까지 30~40대와 다르게 주변에 신경써야할 것이 많이 없고, 우리에게 강점은 시간이다. 

    그렇기 때문에 나이가 젊으면 젊을수록 시간을 기반으로 한 재테크를 시작하는 것이 20대라는 강점을 제대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지 않을까 생각이 든다. 

     

    5. 본인 능력을 키워 몸값을 올리는 게 가장 큰 재테크

    마지막으로 위와 같은 투자, 공부하는 것에 대해 이야기를 해봤는데 사실 수익률이 200%, 300%든 총알이 한 개면 벌기야 하겠지만 큰돈을 만지기는 힘들다. 

    결국 재테크는 보조수단으로 이용하면서 우리는 몸값을 올리고 우리가 잘할 수 있는 분야를 하루빨리 찾는 것이 중요하다. 

    시드의 기반이 갖춰져 있어야 총알이 생기고 그런 상황에서 투자나 경제에 대한 공부를 하게 된다면 복리의 눈덩이는 점점 더 커질 것이다. 
    이렇게 얘기하는 나 또한 몸값을 올리기 위해 일정 부분은 투자나 재테크를 공부하고 나머지는 항상 자기 계발 시간을 가져서 툴이나 전문 분야를 공부하고 있다.

     

    티끌은 모아봐야 티끌이지만 그 티끌을 모아본 사람 만이 큰돈을 굴릴 줄 아는 사람이 된다는 말이 있다. 

    우리도 아직은 돈이 많이 없고 젊지만 티끌을 모아 보는 연습과 티끌을 부풀릴 줄 아는 안목을 공부하고 본인의 자기 계발을 소홀히 하지 않기를 바란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